국내 검색 시장은 여전히 네이버
근래 글로벌 검색 순위 사이트는 단연 구글이 일등이지만, 국내에서 저는 여전히 네이버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생계형 블로그들도 거의 다 네이버에 검색이 되고, 일반인들도 음식점이나 국내 정보를 검색을 할 때에는 네이버를 우선적으로 검색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언제 바뀔지 모를 네이버 블로그의 정책, 데이터를 직접 소유하고 싶은 사람들 그리고 구글 애드센스로 수익을 내고 싶어하는 분들. 이런 분들은 워드프레스 또는 티스토리 같은 네이버 블로그가 아닌 외부 서버에 본인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chatGPT의 등장
또한 최근에 chatGPT의 등장으로 인한 검색 패러다임의 변화 등으로 네이버 검색 시스템 역시 언제 또 하루 아침에 바뀔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네이버 역시 AI 대화형 검색 서비스를 내 보이겠다고 큰 소리를 쳐 놓은 상황입니다.
티스토리도 불안정 함
위에 언급한 티스토리에도 문제점이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소유/운영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에서소유하고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최근의 카카오 그룹의 행태를 보면 돈이 안 되는 서비스는 팔아버리거나 과감하게 폐쇄를 해버리는 그런 일 이 생긴다는 것이죠. 오래전 다음 클라우드 저장소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을 보고 ‘아, 이 기업은 돈 안되면 그냥 클라우드고 미래고 뭐고 없이 그냥 싹다 없애는 구나.”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설마 티스토리 서비스를 싹 다 폐쇄를 하겠냐마는, 지금까지 본 카카오 그룹의 과감한 서비스 폐쇄를 보면 전혀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워드프레스 사용 이유
저 같은 경우에 외부 포스팅에서 본 블로그를 운영을 하고 있고 월 1000 원 정도의 서버 사용료가 나갑니다. 하지만 애드센스에서 아주 약간의 서비스에 광고료가 들어오기 때문에 적자가 나는 일은 없습니다. 또한 이 블로그의 목적은 돈을 버는 게 목적이 아니라 제가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일종의 취미처럼 운영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네이버에서도 본 사이트 등록을 해놓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네이버 검색 결과에도 제 블로그 검색이 됩니다. 물론 뷰영역에서는 되지는 않지만 일반 웹사이트 영역에서는 썸네일 이미지까지 제대로 노출이 됩니다.
네이버 검색 결과 노출
아래는 바로 일부러 제 사이트에서 나온 검색 결과를 보이게 하기 위해서 검색어를 임의로 조정을 해봤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썸네일도 제대로 나오고 있고 요약은 본문의 내용을 요약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View 영역이 아닌 일반 웹검색에서도 썸네일이 보이고 있네요.
워드프레스를 노출시키는 최적화
대부분은 AIOSEO 등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최적화를 시켜주지만 네이버에서 인식시켜주기 위해서는 글을 쓸 때 좀 더 신경을 써서 포스팅을 해야 합니다.
본문 내에 <h1> 사용하지 않기
우선 아래의 네이버에 가이드를 한번 보시겠습니다.
즉, <h1>은 한번만 사용하라는 것입니다. 편집기에서 ‘헤딩1’에 해당되는 것이며, 이는 개별 포스팅의 제목에서 <h1>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문 작성 시에는 <h2>로 소제목을 구분해 주어야 합니다, 즉 ‘헤딩2’를 사용하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헤딩을 기준으로 소분화 되어 있는 내용들을 네이버에서 잘 인식하여 검색 엔진 최적화가 잘 되어져 있는 것으로 받아들일 것입니다.
이미지에 Alt 속성 꼭 넣기
워드프레스의 이미지 속성에 보면 ‘대체 텍스트’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그 부분에 간단한 설명을 꼭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이 두 가지를 지키지 않으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서 경고 메시지를 띄웁니다.
이상으로 네이버 검색 엔진에 노출을 도와줄 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