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AI chatGPT의 등장으로 한 때 구글의 주가가 폭락하는 등의 전체적인 지각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chatGPT-4 까지 등장한 마당에 이는 곧 향후 구글의 수익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이 되어집니다.
구글의 수익 비중
구글의 수익 중에 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80% 전후로, 이는 2021년까지의 데이터입니다만 2022년과 2023년에도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구글은 검색어 및 사용자 방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장 신뢰도 높은 웹사이트 결과를 최상위권에 보여주었으며, 최종적인 검색 결과의 선택은 검색자가 선택을 하는 시스템을 가져 왔습니다. 이것을 사용하는 우리는 구글이 검색 방식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을 했었고, 또한 실제의 결과도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가져다 주었죠.
사용자가 일일이 웹사이트에 들어가야 하니, 그 웹사이트에 걸려 있는 애드센스를 보고 클릭/터치를 하게 되기 때문에 애드센스 또한 효율적이었습니다. 물론, 글로벌하게 보면 효율의 편차가 조금은 있었지만요.
대화형 chatGPT
하지만 대화형 chatGPT는 AI가 검색해 놓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웹사이트에 접속을 하지 않은 상태로 검색의 결과물을 잘 정리해서 받을 수가 있습니다.
코딩을 질문 – 구글에 검색
그 예로, 제 워드프레스 블로그 같은 경우에 사이트의 인터페이스를 좀 더 디테일하게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HTML5 언어를 알아야 합니다. 또한 기존에 구글에서 검색하던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트의 코딩을 하려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했던 적이 많았습니다. 수십개의 사이트를 들락날락 거리며 말이죠.
여기서 저는 수십개의 사이트를 들락날락 거리며, 그 사이트에 걸려 있는 애드센스 광고를 보는 결과를 가져왔고 때에 따라서 그 광고를 클릭을 했겠죠.
chatGPT에 물어보면?
하지만, chatGPT 에 제 워드프레스에서 내가 원하는 것을 물어보니, 정확하게 코딩의 워딩까지 보여주며 이렇게 저렇게 하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적용을 해보니 올바로 사이트 변경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즉, 정확한 결과를 단 한번에 그 어떤 광고도 보지 않고 얻게 되었습니다.
자, chatGPT 상에서는 제가 그 어떤 사이트에도 들어가지 않았기 때문에 애드센스에의 노출도는 0에 가깝습니다. 또한 검색 결과물도 정확했고요.
애드센스 딜레마
구글은 애드센스 같은 광고가 주 수입원인데, 바드를 출시했지만 이것을 메인 검색결과로 서비스를 보여주기에는 광고 수입에 대한 대책이 부족한 것이 사실일 것입니다. 즉, 딜레마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구글도 내부적으로 논의를 하고 있겠지만 검색 시장을 꽉 잡고 있던 구글과 우리가 생각치도 못했던 Bing 이 구글의 대항마가 되었으니 앞으로 어떻게 될지 더욱 더 궁금합니다.
간단하게 제 생각을 정리해 보았는데요, 두서 없는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